본문 바로가기

광장 한 가운데

인간은 보편적으로 선한가? 아니면 악한가?


'괜찮아, 사랑이야'를 다시 보다 (1) 

- 인간론 : 인간은 보편적으로 선한가? 아니면 악한가? 


ⓒ SBS <괜찮아, 사랑이야> 1회분 캡쳐화면


#1. 지해수와 장재열이 만나다.

정신과 의사 지해수(공효진 분)과 베스트셀러 작가 장재열(조인성 분)이 실제로 첫 번째 만나는 장면의 모습이다. 지해수는 조동민(성동일 분)의 대타로 티비에 출연하게 되고, 장재열과 ‘대중문화 속에 숨겨진 인간의 심리’라는 제목으로 토론을 벌인다. 둘의 논점은 다음과 같다. ‘인간은 보편적으로 선한가? 혹은 인간은 보편적으로 악한가?’


먼저 장재열의 대중을 향한 설득이 이어진다. 객석을 향하여 한 번이라도 낯선 타인에게 성적인 욕망을 가졌던 남성이 있다면 한 번 일어나보라고 말한다. 당연 대부분의 남성들이 일어난다. 그때, 장재열은 마음속으로 생각했을 테다. ‘인간은 보편적으로 악하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라고


그때 지해수는 오히려 객석을 향하여 실제 장재열이 집필한 소설의 주인공처럼 끔찍하고 잔인한 성범죄를 저지른 사람이 있는 남성만 남고, 나머지는 앉으라고 권유한다. 또 다시 일어난 많은 남성들이 모두 자리에 앉는다. 그리고 지해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우리는 누군가 모두 악한 생각을 할 수는 있다. 하지만 우리 안에 있는 선한 의지로 말미암아 악한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 


<선하게 태어난 우리> 책 표지. ⓒ나무생각. 


#2. 원죄, 그리고 원복.

기독교 신학 속에서는 어거스틴과 칼빈으로 이어지는 ‘원죄’의 전통이 있다. 일명 이른바 인간은 모두 악하디 악하다는 통찰이다. 인간은 너무도 악하여 하나님께로 이를 수 없으며, 그로 말미암아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필요하다는 기독교 신학의 토대를 형성한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원복’의 또 다른 전통도 있다. 메튜 폭스, 데스몬드 투투 등을 통해 알려진 이 전통은 하나님의 선한 창조를 기초로 한다. 특별히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졌다는 창세기의 창조이야기를 중심으로 우리의 선한 삶이 중요하다고 천명한다.


이 두 가지의 전통은 서로 극명하게 대립하는 것처럼 보인다. 기존의 전통인 원죄신학은 대부분 많은 이들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신학이라고 할 수 있는 원복신학은 원죄신학이 간과했던 인간의 선한 창조에 대한 성서본문들을 인용하며, 기독교의 전통 신학 속에서 숨겨져있던 인간의 윤리적 책임을 다시 부각시키고 있다.


성서의 이야기들을 ‘총체적으로’ 기억해야 하지 않을까?


#3. 하지만 서로 다른 이야기만은 아니다.

하지만 ‘원죄’의 신학과 ‘원복’의 신학을 굳이 대립구도로 볼 필요가 있을까? 서로 극명하게 다른 두 전통은 어쩌면 우리 세상과 인간의 본질에 대한 서로 다른 측면을 조망한 전통이지 않을까? 한편으로는 극 중에서 장재열이 보편적으로 지적했던 ‘악한 충동’에 대한 통찰이 담긴 이야기이며, 다른 한편으로는‘악한 충동’을 억제하는 보편적인 ‘선한 의지’에 대한 지해수의 통찰이 담긴 이야기로써, 다른 것 같지만 결국엔 한 이야기 속으로 모아진다. 마치 극 중의 장면처럼 말이다.


우리가 가진 성서는 기본적으로 이 두 가지의 이야기를 골고루 전해준다. 한 쪽에서는 그 어떤 인간도 하나님께 이를 수 없는 죄의 굴레 가운데 빠져있다는 사실을 폭로하며, 한 쪽에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이며 선한 일을 위해 지음 받았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또한 그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 그로 말미암아 그를 믿는 자에게 부어진 성령의 임재는, 우리를 둘러싼 온갖 죄와 악의 권세를 극복하고, 선한 일을 위한 '하나님의 형상’으로 살아가는 유일한 길임을 이야기한다. 


특히나 '세월호 이후의 삶'을 살고 있는 우리들은, 이러한 성서의 양 측면의 이야기들을 ‘총체적으로’ 기억해야 하지 않을까? 그 어떤 누구도 ‘죄’, 이른바 악한 권세로부터 초연한 인간은 없지만, 분명 하나님께서는 그런 인간들을 통해 헝크러진 악한 세상 속에서 ‘선한 일’들을 이뤄나갈 것이라는 사실을 말이다.



"여러분이 죄에 얽매여 있던 때에는 이 세상 풍조를 따라 살았고 허공을 다스리는 세력의 두목이 지시하는 대로 살았으며 오늘날 하나님을 거역하는 자들을 조종하는 악령의 지시대로 살았습니다. 실상 우리도 다 그들과 같아서 전에는 본능적인 욕망을 따라서 육정에 끌려 살았던 사람들로서 본래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진노를 살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한없이 자비로우신 하나님께서는 그 크신 사랑으로 우리를 사랑하셔서 잘못을 저지르고 죽었던 우리를 그리스도와 함께 다시 살려주셨습니다. 여러분은 이렇듯 은총으로 구원을 받았습니다."    (엡 2:2-5, 공동번역)




홍동우 / 부산장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입학 예정. 

일단은 경계해야 할 위험한 사람인지, 

세상에 대하여 경계를 하고 있는 불안정한 사람인지, 

혹은 온갖 경계선 위를 돌아다니는 사람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분명한건 '경계인'이라는 사실. 

부산의 한 교회에서 청소년들과 어울리며 삶의 행복을 느끼고 있다.

<광장, 청춘> 기획/편집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