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틸리히의 『조직신학』을 뒤적이며 1. 틸리히의 신학 – 세상을 향해, 그럼에도 더 기독교적인 한국교회의 위기는 이미 식상한 소식이다. 어떤 이들은 위기의 알람음을 듣고도, ‘지금까지 나는 문제없었으니 앞으로도 지금처럼 하면 된다.’ ‘나는 지금까지 문제없었는데, 왜 너는 무능하게 위기에 빠졌느냐?’ 라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낙심하고 교회를 떠났던 성도들을 흡수하고 있는 일부 교회들을 제외하면, 한국의 개신교인 수는 감소하고 있고, 기독교, 특히 개신교의 사회적 ‘매력’은 이미 사라진지 오래 되었다. 이런 위기를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기독교인들에게서 두 가지 신학적 흐름이 감지된다. 첫째는 올바른 기독교를 회복하고자 하는 흐름이다. 한국교회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때, 대부분의 교회는 성령운동, 은사운동, 교회성장에만 집중해왔다. 그 결과.. 더보기
오늘 우리를 위한 디트리히 본회퍼의 한 마디 1. 본회퍼, 여전히 읽을 이유가 있을까? 최근 우리나라 신학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공공신학(public theology)의 권위자 가운데 한 분이 미국의 막스 스택하우스(Max L. Stackhouse)입니다. 필자는 프린스턴 신학대학원에서 공부할 때 스택하우스 교수와 디트리히 본회퍼에 관련하여 심각한 논쟁을 벌인 적이 있습니다. 당시에 스택하우스 교수는 필자가 코스 워크를 진행하는 과정을 지도해주는 위원회의 일원이었습니다. 코스 워크 3학기를 마무리하면서 필자는 스택하우스 교수에게 정례적인 학업보고를 이메일로 보내면서, 향후 디트리히 본회퍼에 관한 주제로 박사학위논문을 쓸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적었었습니다. 바로 다음 날 아침에 필자는 스택하우스 교수로부터 매우 당혹스러운 답신을 받았습니다. 스택하우스.. 더보기
폴 틸리히: “믿음이 말 되게 하려고 한 사람” 1. 말에 서툰 말씀의 종교? 교회에 이미 익숙한 사람에게는 그리스도교 이야기들을 적당히 해도 별로 문제가 안 된다. 심지어 어설퍼도 괜찮다. 듣는 사람들이 잘 알아듣기 때문이다. 이유인즉, 그들도 이미 그들에게 익숙한 방식으로, 즉 듣고 싶은 대로 듣기 때문이다. 그러나 생소한 사람은? 이 물음을 그동안 잘 안 물었다. 복음이라는데, 기쁜 소식이라는데, 들을 사람이 알아서 새겨야 한다는 것인지 하여튼 선포의 이름으로, 대언한다면서 일방적으로 내뿜었다. 그런데 듣고 있던 사람들이 갸우뚱하더니 손사래를 치고는 박차고 나가 버렸다. 이런 사람들이 점차로 늘어났다. 탈종교화나 세속화라는 말들로 포장했지만 이런 근세의 분위기에 교회는 속수무책이었다. 급기야 더욱 거칠어진 현대의 반종교적 비판에도 그리스도교는 별.. 더보기